
평생교육 양성기관 : 평생교육사가 되기 위해 정해진 교과목 또는 과정을 이수하는 대학 또는 교육원 평생교육 실습기관 : 평생교육사가 실제적으로 직업적인 활동을 하는 평생교육기관 평생교육 현장실습의 개념 평생교육 현장실습은 평생교육 양성기관에서 교과목을 이수한 뒤, 평생교육기관에서 실제적으로 수행하는 직업적인 활동(기획, 관리, 실행, 평가의 전 과정)에 직접 참여하여 실무를 수행하거나, 그 수행 과정을 참관하여 이론적으로만 학습했던 내용들을 복기하며 평생교육기관에서 실제상황을 경험해보는 과정이다. 이 현장 실습을 통해 실무를 직접 경험해봄으로써 평생교육사로서의 정체성과 책임감 및 사명감을 고양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. 평생교육 현장실습의 목적 평생교육의 영억은 매우 광범위하다. 문해교육을 포함하여 모든 성..

평생교육사가 근무할 수 있는 기관은 크게 학력 인정기관과 학력 미인정 기관으로 나눌 수 있다. ■ 학력 인정기관 ① 학교 형태의 평생교육시설(학력인정) : 검정고시에 따로 응시하지 않아도 초등학교, 중학교, 고등학교 졸업자와 동등한 학력을 인정받을 수 있음 (예: 한림중학교,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, 안양상업고등학교, 서울 서현초등학교 등) ② 전공대학 : 전공과를 설치 운영하는 고등기술학교로 교육부 장관의 인가를 받아 전문대학 졸업자와 동등한 학력 학위가 인정되는 평생교육시설이다. (예: 국제예술대학교, 백석예술대학교, 정화예술대학교) ③ 사내대학 :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의 사업장 경영자가 교육부 장관의 인가를 받아 전문대학 졸업자와 동등한 학력 학위가 인정되는 평생교육시설이다. (예: 삼성전자공..

평생학습도시란? 개인의 자아실현, 사회적 통합 증진, 경제적 경쟁력을 제고하여 궁극적으로 개인의 삶의 질과 도시 전체의 경쟁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언제, 어디서, 누구나 원하는 학습을 즐길 수 있는 학습 공동체 건선을 도모하는 총제적 도시재구조화(Restructuring) 운동이다. 동시에 지역사회의 모든 교육자원을 기관 간, 지역사회 간, 국가 간 연계시킴으로써 네트워킹 학습공동체를 형성하려는 지역사회 교육운동이다. 추진 배경 및 필요성 ① 지식기반사회의 도래 지식기반사회,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지역 경제의 존속과 발전을 위해 지식생산과 지역 문화 창달이 요청되고 있음 ② 평생학습사회로의 진입 학습을 통한 자기 극복은 개인 뿐 아니라 지역사회와 국가 모두의 당면과제로 부상하고, 이에 따라 교육..

「 실습일지 (1일 차) 」 실습일 0000년 00월 00일( 0요일) 실습지도자 확인 OOO (서명 또는 인) 실습시간 출근일시 퇴근시간 점심/저녁시간 지각/조퇴결근여부 (사유) 실습시간 09:00 18:00 13:00~14:00 없음 8 시간 실습내용 ◆ 오전 9시~10시 : 실습오리엔테이션 주간 실습일정표에 따른 총 20회차의 실습일정을 살펴보고, 실습에 필요한 준비사항, 대략적인 타임테이블 숙지 및 질의 응답 시간을 가졌다. ◆ 오전 10시~12시 : 자기소개 및 실습일지작성에 대한 안내 실습에 참여하는 실습생과 실습지도자 간 인사와 간략한 자기소개, 실습일지 작성 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, 실습일지 작성에 필요한 자료들을 숙지하는 시간을 가졌다. ◆ 오후 2시~4시 : 평생교육사협회 안내 실습기관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