평생교육 양성기관 : 평생교육사가 되기 위해 정해진 교과목 또는 과정을 이수하는 대학 또는 교육원 평생교육 실습기관 : 평생교육사가 실제적으로 직업적인 활동을 하는 평생교육기관 평생교육 현장실습의 개념 평생교육 현장실습은 평생교육 양성기관에서 교과목을 이수한 뒤, 평생교육기관에서 실제적으로 수행하는 직업적인 활동(기획, 관리, 실행, 평가의 전 과정)에 직접 참여하여 실무를 수행하거나, 그 수행 과정을 참관하여 이론적으로만 학습했던 내용들을 복기하며 평생교육기관에서 실제상황을 경험해보는 과정이다. 이 현장 실습을 통해 실무를 직접 경험해봄으로써 평생교육사로서의 정체성과 책임감 및 사명감을 고양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. 평생교육 현장실습의 목적 평생교육의 영억은 매우 광범위하다. 문해교육을 포함하여 모든 성..
평생교육사가 근무할 수 있는 기관은 크게 학력 인정기관과 학력 미인정 기관으로 나눌 수 있다. ■ 학력 인정기관 ① 학교 형태의 평생교육시설(학력인정) : 검정고시에 따로 응시하지 않아도 초등학교, 중학교, 고등학교 졸업자와 동등한 학력을 인정받을 수 있음 (예: 한림중학교,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, 안양상업고등학교, 서울 서현초등학교 등) ② 전공대학 : 전공과를 설치 운영하는 고등기술학교로 교육부 장관의 인가를 받아 전문대학 졸업자와 동등한 학력 학위가 인정되는 평생교육시설이다. (예: 국제예술대학교, 백석예술대학교, 정화예술대학교) ③ 사내대학 :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의 사업장 경영자가 교육부 장관의 인가를 받아 전문대학 졸업자와 동등한 학력 학위가 인정되는 평생교육시설이다. (예: 삼성전자공..
평생교육사의 직무 평생교육법 [일부개정 2008. 2. 29. 법률 8852호] 제24조와 동법 시행령 [일부개정 2008. 6. 5 대통령령 제20799호] 제17조에 의거, 고등교육기관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평생교육기관은 평생교육사를 양성할 수 있고 아래와 같은 평생교육사의 직무를 정하고 있다. ①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요구분석, 개발, 운영, 평가, 컨설팅 ② 학습자에 대한 학습 정보 제공, 생애능력개발, 상담, 교수 ③ 그 밖에 평생교육 진흥 관련 사업 계획 등 관련 업무 평생 교육론 (한상길 저)에서 명시하는 평생교육사의 직무와 역할 ① 조사 및 분석 : 평생학습사업 및 프로그램 기획을 위해 객관적인 자료와 정보를 과학적으로 확보하고 분석하는 임무 ② 기획 및 계획 : 평생학습사업의 비전 및 추진..
평생학습도시란? 개인의 자아실현, 사회적 통합 증진, 경제적 경쟁력을 제고하여 궁극적으로 개인의 삶의 질과 도시 전체의 경쟁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언제, 어디서, 누구나 원하는 학습을 즐길 수 있는 학습 공동체 건선을 도모하는 총제적 도시재구조화(Restructuring) 운동이다. 동시에 지역사회의 모든 교육자원을 기관 간, 지역사회 간, 국가 간 연계시킴으로써 네트워킹 학습공동체를 형성하려는 지역사회 교육운동이다. 추진 배경 및 필요성 ① 지식기반사회의 도래 지식기반사회,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지역 경제의 존속과 발전을 위해 지식생산과 지역 문화 창달이 요청되고 있음 ② 평생학습사회로의 진입 학습을 통한 자기 극복은 개인 뿐 아니라 지역사회와 국가 모두의 당면과제로 부상하고, 이에 따라 교육..